여호수아 3장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의 요단강 도하 사건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이 약속하신 가나안 땅에 입성하기 전에 요단강이 있습니다. 요단강을 건너야 가나안 땅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요단강을 건너가는 은혜를 주셨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의 요단강 도하 사건(수 3:1-6)
1절 바야쉐켐 예호쉬아 바보케르 바이세우 메하쉬팀 바야보우 아드 하야르덴 후 베콜 베네 이스라엘 바얄리누 샴 테렘 야아보루
=====3:1
아침에 일찌기 일어나서 - '일찌기 일어나다'의 히브리어 '솨캄'은 그 자체로서 아침 일찍이 일어나는 것을 뜻하지만, 본절에서처럼 '아침에'(바보케르)라는 수식어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여호수아는 여리고 성(6:12), 아이 성(8:10)을 정복하기 위해서도 아침에 일찍이 일어났는데, 이는 대사(大事)를 앞두고 여호수아가 항상 영적으로 먼저 무장했음을 보여준다.
싯딤에서 떠나 요단에...유숙하니라 - '싯딤'과 '요단'에 관해서는 각각 1:2과 2:1 주석을 참조하라. 한편 '떠나다'의 히브리어 '나사'는 '천막 말뚝을 뽑다', '출발하다', '여행하다'를 뜻하는 말로서, 천막 생활을 하며 유랑하였던 초기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적 생활 무대와 잘 어울리는 말이다. 즉 그들은 다음 여행지로 갈 때 천막 말뚝을 뽑아 천막을 걷은 다음 출발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유숙하다'의 히브리어 '룬'은 대개 어떤 장소에서 밤을 보내려고 숙박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2절 바예히 미크체 쉘로셰트 야밈 바야아베루 하쇼테림 베케레브 하마하네
=====3:2
삼일 후 - 즉 싯딤(Shittim)에서 요단 강둑에 이른 지 3일이 지난 때이다. 이처럼 요단 강둑에 이르러 3일을 유숙한 이유는 요단 강 도하(渡河) 직전 최종 마무리 준비를 해야 했고, 또한 여호와의 지시를 기다려야 했기 때문이다(Loen Wood, C.F. Keil).
유사 - 1:10 주석 참조.
3절 바이차부 에트 하암 레모르 케리오티켐 에트 아론 베리트 아도나이 엘로헤켐 베하코하님 하레빔 노시임 오토 베아템 테시우 미미코미켐 바할라케템 아하라이브
=====3:3
레위 사람 제사장들 - 레위 지파 사람이라고 해서 모두 제사장이 되는 것은 아니었다. 제사장은 그 가운데서 오직 아론의 자손에만 국한되었다(민 3:1-4). 신 31:25 주석 참조.
하나님 여호와의 언약궤 - '법궤'(레 16:2), '증거궤'(출 30:6), '여호와의 궤'(수 4:11), '하나님의 궤'(삼상 3:3), '주의 능력의 궤'(대하 6:41)등으로 불리워지기도 하는 언약궤는 출 25:10-22에 그 규모가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 궤 속에는 십계명 두 돌판과 만나 항아리, 그리고 아론의 싹난 지팡이가 담겨져 있었다(히 9:4; 왕상 8:9). 한편 이 언약궤를 운반할 경우, 규정상으로는 레위 지파의 고핫 자손들이 어깨에 메어 운반하도록 되어 있었지만(민 4:4-15), 특별히 중요한 경우에는 제사장들이 직접 운반하기도 했다(신 31:9; 왕상 8:3, 6).
그 뒤를 좇으라 - 광야 생활 동안에도 줄곧 언약궤가 앞서 가고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 뒤를 따라 행진하였다(민 10:33-36). 여기서 '언약궤'는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바, 이를 뒤따르는 것은 곧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순종하며 따르는 것을 뜻한다(Matthew Henry).
4절 아크 라호크 이흐예 베네켐 우베노 케알파임 암마 바미다 알 테크레부 엘라이브 레마안 아셰르 테ㅔ드우 에트 하데레크 아셰르 텔르쿠 바흐 키 로 아바르템 바데레크 미테몰 쉘로숌
=====3:4
그 사이 상거가 이천 규빗쯤 되게 하고 - 여기서 '상거'(相距)는 '멀리 나가다'(라하크)에서 파생한 형용사로 여기서 '...만큼의 거리거 떨어진'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규빗(Cubit)은 통상 손가락 끝에서 팔꿈치까지의 거리고 약 45cm이다. 그러므로 2000 규빗은 약 900m 정도의 거리인데, 이 거리는 요단 강의 바깥 둑, 곧 엘 그호르(el-Ghor)에서 강바닥, 곧 에즈 조르(ez-Jor)에 이르는 거리고, 이는 제사장들의 발이 강가에 닿았을 때(8절) 백성들은 여전히 바깥 강둑에 머물러 있었음을 보여 준다. 한편 이처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언약궤를 따라가게 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인 언약궤에 대해 경외심을 심어 주기 위함이었다(Calvin, Matthew Henry). (2)온 백성으로 하여금 언약궤를 충분히 바라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Keil, Woudstra). 한편 후일 유대 랍비들은 본절에 언급된 바 백성들과 언약궤 사이의 거리를 근거로 안식일에 걸을 수 있는 허용 거리를 산출하기도 했다.
가까이 하지는 말라 - '가까이 하다'의 히브리어 '카라브'는 '끌어당기다', '접근하다'를 뜻한다. 후일 법궤 운반시 웃사(Uzzah)가 무분별하게 법궤에 손을 댔다가 죽임을 당한 사건(삼하 6:6, 7)으로 미루어 볼 때, 이 명령은 언약궤가 거룩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5절 바요메르 예호쉬아 엘 하암 히트카다슈 키 마하르 야아세 아도나이 베키르브켐 니펠라오트
=====3:5
스스로 성결케 하라 - 요단 강 도하를 앞두고 여호수아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성결'(코데쉬)을 명하였다. 그런데 여기서는 성결의 구체적인 행위로 의복을 빤다든가(출 19:10, 14), 옷을 갈아입는다는 가(창 35:2), 또는 여인을 멀리하는 것(출 35:2) 등과 같은 외부적 성결 행위를 의미하는 것 같지는 않다. 왜냐하면 당시로서는 그러한 준비를 할 만큼 시간적 여유가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서 여호수아가 명령한 성결(聖潔)은 심령의 성결, 곧 영적 성결의 자세를 삼가 가다듬으라는 의미로 봄이 좋다(Keil & Delitzsch, Vol.?. p. 41). 한편 공동번역은 "목욕재계하여라"라고 번역하였다.
기사(팔라) - 하나님의 권능이 역사 속에 개입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 출 34:10에서도 가나안 정복과 관련하여 이 단어가 사용되었다.
6절 바요메르 예호쉬아 엘 하코하님 레모르 시우 에트 아론 하베리트 베이브루 레피네 하암 바이세우 에트 아론 하베리트 바옐레쿠 레페네 하암
=====3:6
앞서 건너라 - 여기서 '앞서'의 히브리어 '리프네'는 단순히 '앞에서'(before ; KJV, RSV)라는 뜻보다는 '선두에서'(ahead of ; NTV, 공동 번역)라는 뜻이 더 강하다. 실로 넘실대는 요단 강물에 발을 내디딘다는 것은 큰 믿음과 용기가 요구되는 일이었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하나님의 임재와 동행의 상징인 언약궤가 함께 하였으므로 오직 믿음으로 발을 내디딜 수 있었다.
[히브리어 성경 신명기 강해] 모세가 헤스본 왕에게 사자를 보냄(신 2:26-31)
'성경 원문 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왕기상 2장 히브리어 강해말씀] 다윗의 군대장관 요압의 죽음(왕상 2:28-35) (0) | 2022.04.30 |
---|---|
[히브리어 성경으로 보는 사무엘하] 유다와 이스라엘의 휴전(삼하 2:24-32) (0) | 2022.04.30 |
[사무엘상 히브리어 성경 강해] 엘리 제사장 가문의 멸망 예언(삼상 2:27-30) (0) | 2022.04.20 |
[사사기 히브리어 강해설교] 사사에게 대적하는 이스라엘 백성(삿 2:16-23) (0) | 2022.04.19 |
[히브리어 성경 신명기 강해] 모세가 헤스본 왕에게 사자를 보냄(신 2:26-31) (0) | 2022.04.08 |
[히브리어 민수기 강해] 아론의 아들 나답, 아비후, 엘르아살, 이다말(민 3:1-4) (0) | 2022.04.08 |
[히브리어로 보는 레위기 강해] 제사장을 위한 속죄제 규례(레 4:1-6) (0) | 2022.04.07 |
[출애굽기 원어성경 히브리어 강해말씀] 이드로의 양을 치는 모세(출 3:1-5)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