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원문 강해

[히브리어 성경 열왕기하 강해] 북 이스라엘 여호람의 즉위(왕하 3:1-5)

엘벧엘 2022. 8. 27. 09:36
반응형

북 이스라엘 여호람의 즉위(왕하 3:1-5)

 

유다의 여호사밧 왕 18년째 해에 아합의 아들 여호람이 사마리아에서 북 이스라엘을 12년 동안 통치했다. 여호람은 여호와 보시기에 악한 왕이었다. 아합 보다는 악하지는 않았다. 아합이 만든 바알의 주상을 없앴다. 여로보암의 길을 떠나지는 않았다. 북 이스라엘 왕들은 모두가 여호와 하나님 말씀대로 살지 않았다.

 

1절 비호람 벤 아히아브 말라크 알 이스라엘 비쇼미론 비쉬나트 쉬모네 에시레 리호샤파트 멜렉크 이후다 바이밀로크 쉬템 에시레 샤나

성 경: [왕하3:1]

주제1: [여호사밧의 모압 원정(遠征)]

주제2: [여호람의 즉위]

본절에서도 1:17에서와 같은 연대기 상의 문제가 있다. 이스라엘 왕 아하시야가 왕이 된 것은 유다 왕 여호사밧의 제17년이었으며 2년간 이스라엘을 통치했다고 했다(왕상 22:51). 그러면 아하시야의 동생 여호람이 왕이 된 것은 유다 왕 여호사밧의 제19년이어야 하는데 본절에서는 18년이라고 기록하는 모순을 보이고 있다.

2절 바야아세 하라 비에네 아도나이 라크 로 키아비브 우키임모 바야사르 에트 마치바트 하바알 아세르 아사 아비브

성 경: [왕하3:2]

주제1: [여호사밧의 모압 원정(遠征)]

주제2: [여호람의 즉위]

󰃨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으나 - 여호람은 이전의 이스라엘 다른 대부분의 왕들(왕상 14:16; 15:25,34; 16:13,19,25,30; 22:52)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많은 왕들(8:27; 10:31; 13:2,11; 14:24; 15:9,18,24,28; 17:2)과 같이 하나님의 계명에 불순종했으며 여호와의 율법을 준수하지 하지 않았다. 이것은 그가 죄에 대하여 무감각하게 살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 또한 여호람과 같은 이런 평가를 받지 않기 위해서는 항상 하나님 앞에서(Coram Deo) 생활하듯이 행동해야 할 것이다(살전 1:3;3:9).

󰃨 그 부모와 같이 하지는 아니하였으니 - 여호람은 부친 아합이나 모친 이세벨처럼 우상을 섬기지 않고 바알상을 제거함으로써 어느 정도 새로운 신앙의 개혁 운동을 이루었다. 그뿐만 아니라 여호람은 부모에게서와 형인 아하시야에게서 생활과 신앙에 대한 교훈을 얻어 통치 초기에는 각성을 했던 것 같다(Pulpit Commentary). 그러나 일관성 있게 개혁 운동을 주도해 나가지 못하고 단지 바알 신상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멈추었기 때문에 개혁에는 별로 큰 성과가 없었다. 더욱이 그 자신도 통치 후기에는 아합 왕가의 죄악을 답습하는 어리석음을 범하고 만다(9:24). 한편 여호람 왕이 이같이 완전하게 악에서 떠나지 못했던 것은 열렬한 바알의 숭배자일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역사에서 악녀로 손꼽히는 이세벨이 딸 아달랴와 함께 그의 전 통치 기간 동안 살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9:30, Keil & Delitzsch, Vol. , p. 301).

󰃨 바알의 주상(柱像)을 제하였음리라 - 여호람이 비록 사마리아에서 바알의 주상들을 제하기는 했지만 그가 북이스라엘 전역에서 바알 숭배의 풍속을 금지시킨 것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그다음 왕인 예후가 바알의 목상뿐 아니라 바알의 선지자까지 철저히 제거했다는 사실이 뒤에 나오기 때문이다(10:19-28). 물론 여호람이 그 아비가 만든 바알의 주상을 제함으로 아합과 이세벨의 길을 따르지 않으려고 애쓴 흔적은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하나님 보시기에 의롭지 못했다는 사실은 엘리사 선지자의 책망을 통해서 우리는 알 수 있다(14).

3절 라크 비하토오트 야라비암 벤 니바트 아세르 헤헤티 에트 이스라엘 다베크 로 사르 미메나

성 경: [왕하3:3]

주제1: [여호사밧의 모압 원정(遠征)]

주제2: [여호람의 즉위]

󰃨 여로보암이 이스라엘로 범하게 한 그 죄를 따라 행하고 - 북왕국 이스라엘의 제1대 왕인 여로보암은 솔로몬이 죽은 후 어리석은 르호보암의 정책을 이용해 북방 열 지파의 지지를 얻어 왕위에 오른 자이다. 이제 그러한 그의 행정을 기록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벧엘과 단에 금송아지 둘을 세움(왕상 12:29,30), (2) 레위 지파가 아닌 일반 사람을 마음대로 제사장에 임명함(왕상 12:31), (3) 제사의 절기를 바꾸어 버림(왕상 12:32,33), (4) 백성의 종교심을 묶어 놓기 위해 우상 정책을 씀(왕상 12:25-33), 이중에서도 여호람이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계속 고수해 나간 범죄는 금송아지를 숭배하는 것이었다. 여호람이 이와 같이 금송아지 숭배를 고집한 것은 정치적인 이유로써 예루살렘으로 예배를 드리기 위해 유다로 넘어가는 백성들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MatthewHenry, Vol. , p. 719, Pulpit Commentary). 이와 같이 자기의 정치적 유익을 위하는 이기심도 일종의 우상 숭배인 것이다(20:4,5). 좀 더 구체적인 여로보암의 악행에 대해서는 왕상 12:26-33; 13:33;왕하 10:29를 참조하라.

4절 우메샤 멜렉크 모아브 하야 노케드 비헤쉬브 리멜렉크 이스라엘 메아 엘레프 카림 우메아 엘레프 엘림 차메르

성 경: [왕하3:4]

주제1: [여호사밧의 모압 원정(遠征)]

주제2: [모압 왕 메사의 배반]

󰃨 모압 왕 메사 - '메사'(Mesha)라는 이름은 모압 비문(Moabite stone)의 기록에 나타나 있는데 그는 B.C. 9C 중반 모압의 한 도시인 디본(Dibon)을 병합했다. 또한 그는 약 40년 동안 예속되었던 이스라엘에 대해 항거해 반란을 일으킨 장본인이었다(Gibson, Syrian Semitic Inscriptions, 1:71-83). 또 디본에서 발견된 이 비문을 보면 모압은 그모스 신의 진노로 인해 이스라엘의 오므리 왕조로부터 큰 고난을 당했으나 메사 왕 시대에 와서야 다시 그모스 신이 영광을 얻었다고 기록하고 있다(Smith). 이는 북이스라엘에 대해 반란을 일으켜서 성공한 것을 자축적으로 언급한 듯하다.

󰃨 양을 치는 자 - 이것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는 '노케드'로서 암 1:1에서는 복수 형태로 나타난다. 이것은 '표를 찍다'라는 뜻의 '나카드'에서 파생된 단어로 '소유주', '관리자'를 가리킨다. 또한 이 용어는 아마 양가죽에 주인의 표식을 찍던 목축업자의 습관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사 16:1을 보면 모압은 매년 정규적으로 이스라엘의 치리자에게 양을 조공으로 바쳐온 것으로 보이는데(Keil & Delitzsch) 모압이 이스라엘의 속국이 되어 조공을 바쳐 온 것은 다윗 왕 때부터이다(삼하 8:2). 그리고 메사 왕도 이스라엘에 조공을 바치기 위해 양을 기르던 사람이었다. 그러나 아합 왕이 죽은 후 모압은 자체의 힘을 규합해서 이스라엘을 배반한 것이다(1:1).

5절 바이히 키모트 아히아브 바이피샤 멜렉크 모아브 비멜렉크 이스라엘

성 경: [왕하3:5]

주제1: [여호사밧의 모압 원정(遠征)]

주제2: [모압 왕 메사의 배반]

모압의 메사 왕이 이스라엘에 대해 반란을 일으킨 시기는 아합 왕이 죽고 오므리 왕조가 급격히 쇠퇴하고 있던 때였다. 성경에서는 모압이 배반한 사실에 대해 단지 '아합이 죽은 후에'(1:1)라고 일축해서 기록하고 있는데 이 때는 아합 왕이 죽고 여호람과 여호사밧이 통치하던 시기, 즉 약 B.C.850년 경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T. R. Hobbs). 또한 이 시기는 메사가 영토 확장에 힘을 쓰던 모압의 전승기였다. 한편 본문의 모압 반역 사건은 1868년 독일 선교사에 의해 아르논 강 근처에서 발견된 모압의 비석 위에 기록되어 있다. 이 비석에서 모압의 메사는 오므리가 부과한 공세를 거절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의 모압 왕 메사에 대한 업적을 남기기 위한 수단이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아가서 2장 주일설교말씀] 저 포도밭의 작은 여우(아 2:15-17)

 

[아가서 2장 주일설교말씀] 저 포도밭의 작은 여우(아 2:15-17)

저 포도밭의 작은 여우(아 2:15-17) 아2:15 우리를 위하여 여우 곧 포도원을 허는 작은 여우를 잡으라 우리의 포도원에 꽃이 피었음 이라 아2:16 내 사랑하는 자는 내게 속하였고 나는 그에게 속하였

el-bethel.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