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90

[역대상 족보 히브리어 성경말씀] 다윗이 헤브론에서 낳은 아들들(대상 3:1-9)

역대상 3장에는 족보가 기록되어 있다. 다윗이 헤브론에서 낳은 아들들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 다윗이 헤브론에서 통치하다가 예루살렘으로 입성하여 이스라엘을 통일하게 된다. 다윗이 헤브론에서 낳은 아들들(대상 3:1-9) 성 경: [대상3:1] 비엘레 하이우 비네 다비드 아쎄르 놀라드 로 비헤브론 하비코르 암논 라아히노암 하이지리엘리트 셰니 다니엘 라아비가일 하카리밀리트 주제1: [다윗 가계(家系)의 족보] 주제2: [다윗의 후손] 󰃨 다윗이 헤브론에서 낳은 아들들 - 헤브론(Hebron)은 예루살렘 남서쪽으로 약 40km 지점에 위치한 요새이며 유다 지파의 성읍으로서 유다 지파 지역의 중심부에 있었다. 삼하 2:1 주석 참조. 이스라엘의 초대 왕 사울이 죽은 뒤 다윗은 시글락에서 이곳으로 이주한 직후 유..

[성경지명 원어설교 여호수아 말씀] 그술롯 Chesulloth(수 19:18)

오늘은 여호수아 19장에 나오는 성경지명 중에서 그술롯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술롯은 잇사갈 지파의 기업입니다. 하나님이 잇사갈 지파에게 이스르엘과 그술롯과 수넴을 주었습니다. 오늘은 그술롯의 성경 지명에 있는 하나님의 뜻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성경지명 원어설교 : 그술롯 Chesulloth 그술롯 : 케술로트 : 카살롯 Chesulloth 수 19:18 그 지경 안은 이스르엘과 그술롯과 수넴과 그술롯은 히브리어 (케술로트)와 헬라어 (카살롯)에서 유래되었으며 '신뢰'라는 어원적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신뢰의 대상으로는 우선적으로 하나님이 가장 많이 나타나며(왕하 18:5 왕하 19:10 대상 5:20), 사람에 대한 신뢰(삿 9:26)로도 사용됩니다. 특히 하나님에 대한 신뢰는 그의 ..

[잠언 히브리어 성경말씀] 음녀를 조심하라는 하나님의 말씀(잠 5:8-23)

잠언서 5장에서는 음행을 피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복음에서 멀어지면 음행에 빠져 타락하게 된다. 항상 음녀를 조심해야 한다. 음녀는 우리를 호시탐탐 노리면서 예수님과 멀어지게 한다. 성도는 항상 복음에서 떠나지 말고 교회에서 멀어지지 말고 하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는 자가 되어야 한다. 음녀를 조심하라는 하나님의 말씀(잠 5:8-23) 성 경: [잠5:8] 하리헤크 메알레하 다리케카 비알 티키라브 엘 페타흐 베타흐 주제1: [지혜로운 삶과 간음의 최종적인 대가] 주제2: [음행을 멀리하라] 󰃨 그 집 문에도 가까이 가지 말라 - 건강한 사람이 격리된 전염병 환자를 대하듯이 철저하게 음녀와 가까이하지 말 것을 경고한다. 이는 곧 죄(음행)의 무서운 전염성을 시사하고 있기도 하다...

[열왕기하 히브리어 원어성경] 수넴 여인과 엘리사의 관계(왕하 4:8-16)

열왕기하 4장에서는 수넴 여인이 엘리사를 대접하는 내용이 기록되었다. 엘리사가 수넴 지역을 지날 때마다 대접했다. 엘리사는 수넴 여인에게 대접만 받았기 때문에 수넴 여인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게하시에게 알아 오라고 했다. 수넴 여인에게는 아이가 없었다. 엘리사는 네가 아들을 얻게 될 것이라고 했다. 수넴 여인은 믿지 못했다. 하나님은 엘리사가 말한 그대로 수넴 여인에게 자녀를 주었다. 수넴 여인과 엘리사의 관계(왕하 4:8-16) 성 경: [왕하4:8] 바예히 하욤 바야아보르 엘리샤 엘 슈넴 비샴 이샤 기돌라 바타하제크 보 레에칼 라헴 바예히 미데 아비로 야시르 샤마 레에칼 라헴 주제1: [엘리사가 행한 5가지 기적] 주제2: [엘리사를 대접하는 수넴 여인] 󰃨 하루는 - 문자적으로는 '그 날', 즉..

[에베소서 헬라어 성경 주석말씀] 모퉁잇돌이신 예수님(엡 2:19-22)

에베소서 2장에서는 예수님의 터 위에 성도들이 서로 믿음을 지어가야 할 것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다. 교회의 머리는 예수님이다. 건물이 교회가 아니라 성도가 교회이다. 성도는 예수님을 모시고 믿음을 세워야 한다. 반석 위에 세운 믿음은 종말에도 흔들리지 않는다. 모래 위에 세운 믿음은 무너져 버린다. 우리는 예수님의 터전 위에 믿음을 세워서 주님이 재림하는 날까지 흔들리지 않는 믿음이 되어야 한다. 모퉁잇돌이신 예수님(엡 2:19-22) 성 경: [엡2:19] 아라 운 우케티 에스테 크세노이 카이 파로이코이 알라 쉼폴리타이 톤 하기온 카이 오이케이오이 투 데우 주제1: [믿음으로 말미암아 얻은 구원] 주제2: [하나님의 권속이 된 성도] 󰃨 그러므로 - 헬라어 '아라 운'은 19-22절 내용이 14-18절..

[사도행전 헬라어 성경말씀] 부활하신 예수님의 증거 설교(행 2:23-36)

사도행전 2장에서는 오순절에 베드로가 성도를 향하여 설교를 하고 있다. 성령 강림으로 인하여 성도의 마음은 뜨거워 있었다. 베드로는 메시아인 예수님의 부활을 증거하고 있다. 성령님이 임할 것을 요엘의 말씀을 통해서 증거 했다. 베드로는 뜨거운 마음으로 예수님이 죽고 무덤에서 부활하셔서 자기들에게 보인 것을 증거 했다. 성도는 부활의 주님을 체험하고 하나님의 나라를 소망해야 한다. 예수님은 하나님께서 부활시켜 주셨다. 성도도 마지막 날에 신령한 몸으로 부활한다. 부활하신 예수님의 증거 설교(행 2:23-36) 성 경: [행2:23] 투톤 테 호리스메네 불레 카이 프로그노세이 투 데우 에크도톤 라본테스 디아 케이론 아노몬 프로스페산테스 아네일레테 주제1: [성령의 강림과 역사(役事)] 주제2: [베드로의 설..

[요한복음 헬라어 성경강해] 예수님의 죄사함의 권세(요 5:30-40)

요한복음 5장에서는 예수님의 권세에 대해서 증거하고 있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로 이 땅에서 오셔서 죄를 사하는 권세 있다. 예수님은 인성과 신성을 가지신 분이기 때문에 하나님의 권세로 죄를 사하여 주셨다. 예수님이 복음을 전파하는 이유는 선택받은 백성을 구원하려 함이다. 복음을 전파했는데 믿지 않는 자는 구원받지 못한다. 그러나 믿는 자는 구원받는다. 성도는 예수님의 천국 복음을 받아들이고 구원받았다. 예수님의 죄 사함의 권세(요 5:30-40) 성 경: [요5:30] 우 뒤나마이 에고 포이에인 아프 에마우투 우덴 카도스 아쿠오 크리노 카이 헤 크리시스 헤 에메 디카이아 에스틴 호티 우 제토 토 델레마 토 에몬 알라 토 델레마 투 펨프산토스 메 파트로스 󰃨 내가 아무것도 스스로 할 수 없노라 듣는대로..

[신명기 31장 주석성경말씀] 모세가 율법책을 기록함(신 31:1-30)

신명기 31장에서는 모세가 가나안 정복에 대한 격려의 말씀을 선포하고 있다. 하나님은 애굽에 있는 이스라엘 백성을 인도하여 가나안 땅에 들어가게 하셨다. 모세는 여호수아를 앞세워 가나안 땅에 들어가라고 말씀한다. 또한 초막절에 율법을 낭송하게 했다. 하나님께서 가나안 땅에 들어가게 하시면 여호와의 절기를 지키라는 것이다.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면 여호와 하나님을 배교할 것에 대해서 예언하고 있다. 모세가 율법책을 기록함(신 31:1-30) [1-5절] 모세가 가서 온 이스라엘에게 이 말씀을 베푸니라. . . . 모세는 가서 온 이스라엘에게 이 말씀을 말하였다. “내가 오늘날 120세라. 내가 더는 출입하기 능치 못하고 여호와께서도 내게 이르시기를 너는 이 요단 [강]을 건너지 못하리라 하셨느..

[민수기 성경주석강해] 이스라엘 지휘관의 성막 운반기구 봉헌(민 7:1-13)

민수기 7장에서는 이스라엘 지휘관들이 성막을 운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구를 봉헌했다. 이스라엘의 우두머리들이 하나님께 헌물 했다. 이 사람들은 수레와 소를 하나님께 드렸다. 광야에서 성막을 운반하는 데 사용하는 기구와 동물을 드렸다. 성도도 하나님 앞에서 쓰임 받아야 한다. 교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을 봉헌하는 것도 하나님의 일이다. 이스라엘 지휘관의 성막 운반기구 봉헌(민 7:1-13) ● 1절 ----------------------------------------------------------- 모세가 장막 세우기를 필하고 그것에 기름을 발라 거룩히 구별하고 또 그 모든 기구와 단과 그 모든 기구에 기름을 발라 거룩히 구별한 날에. - 성막과 그 기구에 기름을 바른 것은 무슨 뜻인가? 구약..

[히브리어 성경 사무엘하 강해] 다윗과 아브넬의 언약(삼하 3:12-21)

사무엘하 3장에서는 다윗과 아브넬이 서로 언약하는 내용이 기록되었다. 다윗은 아브넬과 언약하는 조건으로 미갈을 데려오라고 했다. 만약에 그렇게 하지 않으면 협상이 없다고 했다. 아브넬은 발디엘과 결혼한 미갈을 빼앗아 갔다. 다윗과 아브넬의 언약(삼하 3:12-21) 성 경: [삼하3:12] 바이쉴라흐 아브네르 말아킴 엘 다비드 타하토 레모르 리미 아레츠 레모르 카리타 비리티카 이티 비힌네 야디 임마크 리하세브 엘레카 에트 콜 이스라엘 주제1: [다윗가의 흥왕과 사울가의 쇠퇴] 주제2: [다윗에게 투항한 아브넬] 󰃨 이 땅이 뉘 것이니이까 - 아브넬의 이 말에는 복선(伏線)이 깔린 이중적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즉 이 말의 표면적 뜻은 '이 모든 이스라엘의 땅은 바로 다윗 당신의 것입니다'이다(Keil &..